본문 바로가기
건강

파라인플루엔자란? 증상과 대처법

by 삐꺼씨 2025. 4. 19.

독감이 아닌데도 기침이 오래가고 아이가 자꾸 숨을 힘들어하나요? 감기보다 심하고 독감보다는 약한 듯한 그 질병, 바로 ‘파라인플루엔자(Parainfluenza)’일 수 있습니다.

감기와 유사하지만, 기관지에 영향을 주는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특히 영유아나 노약자에게 위험할 수 있어 조기 인식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호흡기 감염

 

1. 파라인플루엔자란?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Parainfluenza virus(PIV)’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는 완전히 다른 종류입니다.

대표적인 4가지 유형이 있으며, HPIV-1부터 HPIV-4까지 존재합니다.

각각의 바이러스는 호흡기계의 특정 부위에 영향을 미치며, 가을이나 초겨울에 유행합니다.

 
유형주요 감염 시기주요 질환

 

HPIV-1 가을 크루프(후두염)
HPIV-2 가을~겨울 후두염, 기관염
HPIV-3 봄~초여름 기관지염, 폐렴
HPIV-4 드물게 발생 상기도 감염

 

2. 파라인플루엔자 감염 경로

이 바이러스는 호흡기 비말, 접촉, 오염된 물건을 통한 간접 감염으로 퍼집니다.

어린이집, 학교, 병원 등 밀접 접촉이 많은 공간에서 집단 감염이 흔하게 발생합니다.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는 빠르게 감염될 수 있으므로 예방이 중요합니다.

 

3. 주요 증상

1.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유사

  • 콧물
  • 코막힘
  • 기침
  • 미열 또는 고열
  • 인후통
  • 쉰 목소리

2. 구분되는 심화 증상

  • 크루프(개 짖는 소리 같은 기침)
  • 숨 쉴 때 쌕쌕거림(천명음)
  • 호흡 곤란
  • 기관지염 또는 폐렴 증상

HPIV-1과 HPIV-2는 후두기관염을 유발해, 밤에 갑자기 아이가 숨을 헐떡이며 깨는 현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4. 파라인플루엔자와 감기의 차이점

구분감기파라인플루엔자
원인 다양한 바이러스 HPIV-1~4
기침 마른기침 쉰 목소리, 짖는 기침
가벼운 열 고열 가능
호흡곤란 드물게 발생 흔하게 동반
기관지 영향 보통 없음 심한 기관지염 동반

파라인플루엔자는 감기보다 더 심한 증상을 일으키지만, 인플루엔자처럼 전신 증상이 심하지는 않습니다.

 

5. 진단 방법

파라인플루엔자는 일반 감기와 유사해 혼동하기 쉬우므로, 다음의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 호흡기 바이러스 PCR 검사
  • 코나 목 점액 채취 후 바이러스 분석
  • 혈액 검사, 흉부 X선 (폐렴 확인)

소아과나 내과에서 PCR 검사를 통해 정확한 바이러스 종류를 확인받을 수 있습니다.

 

6. 치료 방법

1. 항바이러스제는 없다

파라인플루엔자에는 특별한 항바이러스제가 없으며 증상 완화 중심의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2. 증상에 따른 대처

  • 해열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으로 열 조절
  • 기침억제제 및 진해거담제
  • 수분 섭취와 휴식
  • 증기 흡입 및 가습기 사용으로 호흡기 진정
  • 산소 치료(호흡 곤란 시)

기관지가 좁아진 경우 스테로이드 흡입치료나 네불라이저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7. 집에서의 대처법

1. 공기 관리

  • 실내 습도를 50~60% 유지
  • 공기청정기 또는 환기로 공기 순환

2. 따뜻한 수증기

  • 욕실에서 따뜻한 물을 틀고 아이를 잠깐 앉혀두기
  • 김 나는 물에 얼굴 가까이 가져가 코막힘 완화

3. 소리 질러 우는 아이, 위험 신호

  • 아이가 짖는 기침과 함께 숨을 헐떡이거나, 입술이 파랗게 변하면 즉시 응급실로 이동

 

8. 예방 방법

1. 손 씻기 생활화

  • 외출 후, 식사 전후, 기침 후에는 손 씻기
  • 손소독제와 물티슈 휴대

2. 개인 위생

  • 기침할 땐 옷소매나 휴지로 입 가리기
  • 유아 장난감, 젖병 정기적 소독

3. 백신은 없다

현재까지 파라인플루엔자에 대한 백신은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생 관리와 면역력 유지가 가장 좋은 예방책입니다.

 

9. 파라인플루엔자 위험군

  • 6세 이하 영유아
  • 65세 이상 노인
  • 천식, 폐질환,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
  • 면역저하자(항암치료, 스테로이드 복용자 등)

이들에게는 단순 감기 이상으로 폐렴이나 중증 합병증으로 번질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10. 파라인플루엔자 후유증 주의

감염 후 일부 아이나 노인은 다음과 같은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 만성 기침
  • 천식 유사 증상
  • 폐기능 저하
  • 중이염, 축농증 동반

따라서 증상이 호전되었더라도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면 다시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11. 자주 묻는 질문(FAQ)

Q. 파라인플루엔자는 독감인가요?

A. 아니요.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는 다릅니다.

Q. 증상이 없어도 전염되나요?

A. 잠복기 중이나 회복기에도 바이러스 전파가 가능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Q. 어린이집 보내도 되나요?

A. 증상이 있으면 최소 5~7일간 자가격리 또는 휴원을 권장합니다.

 

 

12. 마무리: 파라인플루엔자, 무시하면 위험합니다

파라인플루엔자는 단순 감기로 오인되기 쉬운 질환이지만, 영유아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큰 위험이 될 수 있는 감염병입니다.
가벼운 기침이라도 짖는 소리, 호흡 곤란, 열이 3일 이상 지속되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하며, 일상 속 위생 관리와 면역력 강화로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